본문 바로가기

User Tips/Router

ASUS 인터넷 공유기 DHCP & 포트포워드 설정하기

반응형

ASUS 인터넷 공유기 DHCP

그리고 포트 포워드 설정하기

 

 

인터넷 공유기에 연결된

대부분의 장비는 보편적으로

기기 내의 DHCP 설정 자체를

하지 않는다면 공유기 임의의

가상 IP 를 (192.168...)을 할당

받으며 사용하게 되는데요.

 

물론, 일반 가정에서는 대부분

굳이 DHCP 설정을 해가면서

사용하는 경우도 그렇게 많진

않을 거 같습니다.(아마도..;;)

 

다만 저의 경우 NAS 그리고

PS4 Pro 이 두 개에서 포트 포워딩

설정을 해야 되기 때문에라도

DHCP 설정해서 사용한답니다.

 

 

DHCP는 Dynamic Host

Configuration Protocol

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

이라고 하며, 이를 통해서

IP를 할당.. 또는 설정할 수

있다 라고 보면 될 거 같네요.

 

즉, 고정 IP의 경우에는

DHCP 설정이 된 거랍니다.

 

DHCP는 인터넷 통신사에

요청해서 설정(*유료)할 수

있으며, 어떠한 이유로 인해

사내 IP가 반듯이 고정되어

있어야 할 때 사용한답니다.

 

흠흠.. 이야기가 옆으로 빠질 거

같아서 다시~ 포스팅 내용으로

돌아오면.. 인터넷 공유기에서

사용하는 유/무선 가상 IP를

고정화한다면, 포트 포워딩과

또는 네트워크 공유 등이

좀 더 편리해진답니다. ^_^

 

ASUS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

접속하면 왼쪽 LAN 메뉴를 클릭

하고 바뀌 화면에서 DHCP 서버

클릭하며 스샷과 같이 설정할 수

있답니다. DHCP 서버를 설정을

위해 MAC 주소가 필요합니다

 

 

이렇게 하나하나 MAC 주소와

IP 주소를 입력해서 추가한 뒤에

공유기를 재부팅하면 인터넷이

잠시 끊기고 난 뒤엔 내가 설정한

가상의 인터넷 IP로 할당되는 것을

확인할 수 있답니다. ^_^

실행(윈도우키 + R)에서 IPCONFIG

입력하면~ 아래와 같이 나온답니다.

 

이렇게 디바이스별 가상 IP를

설정해줬다면~ 이젠 NAS를

외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

포트 포워딩 설정을 해보죠.

그전~에 해당 NAS의 가상 IP를

메모장에 잠시 적어놓으시면

복붙하기 편하실 거랍니다. ^^;

 


그럼 이젠 ASUS 공유기에서

포트 포워딩하는 방법에 대해

안내드리겠습니다. ^_^

 

먼저~ 메인화면에서 시작을

하겠습니다. ^^

왼쪽에서 WAN 메뉴 클릭하고

가상 서버/포트 포워딩 메뉴로

이동해주세요 ^_^

 

 

그리고 포트 포워딩 사용에

ON으로 설정하고 본인이

사용하는 NAS의 가상 IP

(DHCP로 설정했던 IP)와

포트를 하나씩 추가합니다.

 

외부에서 접속을 원한다면

HTTP, HTTPS 그리고 80,443

포트를 열여주시면 되는데요

그 외 WEBDAV 라던가 또는

FTP, SSH 등을 여시는 경우엔

포트를 하나씩 추가로 넣어주면

외부에서 사용하기 편하답니다.

 

더불어 전 NAS에서 사용하는

HTTP, HTTPS 그 외 다양한

포트는 기존 포트가 아닌 5자리의

임의(연속된 숫자 X)로 기기 내에

설정하고 사용하고 있답니다.

 

NAS 자체 포트 변경 방법은

시놀로지 NAS 3단계 보안 설정

이라고 쓴 포스팅을 참조하면

도움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. ^^

 

 

 

시놀로지 NAS 3단계 보안 설정 DS918

시놀로지 NAS DS918+ 3단계 보안 설정 이곳에 쓰는 글은 전부 직접 사용하고 체험했던 내용들과 그리고, 저와 같이 곤란했던 분들을 위해 작은 도움이나마 드리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 NAS 이용 카

www.choni.co.kr

 

반응형